Artists & Critics Magazine Vol.41

미술과 비평




자연의 이미지에 대한 탐색과 고찰 | 이경모 수원문화재단 문화사업본부장 미술평론가

김 현 자 | 공주 사범대학 미술교육과 졸업하였다. 3회 개인전을 가졌고, 3회 국제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개인 부스 전을 비롯하여 A&C Art Fair SEOUL, KASF 등의 아트페스티벌에 참여하였다. 오스트리아 해외 기획초대전 및 미술과 비평 평론지뉴욕초대전, 북경 교류전에 작품을 출품하였고, 현재 미술과 비평 선정작가전 초대작가, 인천여성미술비엔날레 운영위원으로 활동하고 고등학교 미술교사로 재직 중이다.

   아산 강당골 산중에 위치한 김현자의 작업실은 매미소리가 녹음에 파묻혀 시린 아름다움을 자아내는 고즈넉한 아취를 풍기고 있는 선경(仙境)이다. 가을을 시샘하는 늦여름 따가운 햇살이 창틈사이를 비집고 들어오는 그의 스튜디오에는 과거 그가 형태와 질료의 실험에 몰두했던 당시의 작품에서부터 현재의 프린팅 작업에 이르기까지 잘 선별되어 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취는 시골에서 나고 자란 작가가 왜 자연의 형태 혹은 이의 원형(archetype)에 집착하고 지속적으로 탐구해 오고 있는 가를 말해주는 단서이기도 하다.

  자연의 원형에 대한 탐색 | 과거 김현자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철사(wire)나 우드락 등을 사용하여 일상적 삶의 영역에서 미미하나 중요한 가치와 의미를 찾거나 그밖에 다양한 오브제를 이용한 구성작업이나 설치작업을 해왔다. 2006년 두 번째 개인전에서도 이의 연장선상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여기에서 작가는 우주의 원리로부터 자연의 근원을 추적하고 이를 삶의 의미망에 투영코자하는 작가적 사유를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자연은 스스로를 절제하면서 질서에 순응하고 반복을 통해 존재하는 무한성을 갖고 있음”을 성찰하고 이런 자연의 현상을 시각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점과 원을 결합하고 구성해 나가는 방법을 통해 내적 삶의 영원성과 전통적 사유의 순환성을 표상했던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원형(原形)으로써 존재의 의미에 대하여 성찰하면서 자연의 의미와 땅의 역사에 대하여 역설(力說)하고 있는 의미부호로 작동되기도 한다.

  한편 김현자는 2009년 연속적인 원의 형상과 미묘한 색채의 변주, 그리고 하단부를 색면과 마스크 두상으로 구성한 <진실 혹은 거짓>이라는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이전 그의 추상작업의 완결판이라고 볼 수 있는 이 작품은 진실과 거짓의 이율배반적 존재방식에 대한 작가의 회의(懷疑)에서 비롯된 것이지만, 필자가 주목하는 것은 이 작품이 지닌 형식적 측면이다. 각각 네 개의 장방형 프레임을 하나의 작업으로 완결시킨 이 작품은 모더니즘 미술의 추상성과 순수성이 화면을 장악하고 있으나 작품전체는 차가운 논리적 연속성을 보이며 강한 미적 아우라를 풍기고 있다. 작가는 이 그림을 통하여 점점 형태를 단순화 혹은 소거시키면서 사물의 본질을 추적해가는 양상을 보이면서도 회화적 환각에 빠지는 것을 경계하여 평 면과 입체의 결합을 시도하고 있다.

  <이중성>이란 작품은 형태의 응축을 통하여 추상성을 강화하면서 또 다른 형식적 변주를 통하여 화면의 긴장감을 조장하면서 자연의 본질과 존재의 이중성에 대하여 사유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당시 그의 예술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바의 추상 혹은 비구상 형식이라 할지라도 역시 자연으로부터 비롯된 색채들의, 그리고 자연으로부터 취해온 형태들의 구성이며 기하학적인 형태들마저도 꽃이나 나뭇잎 등의 식물들과 그 밖의 자연현상들에서 그 원형을 찾고 있다.

  재현에서 현실로 | 비근한 예로 근년에 이르러 김현자는 자연과 보다 밀접한 공간에서 서로 호흡하면서 채집연작을 제작한 바 있다. 우리가 통상적으로 조형예술이라고 규정하기보다는 오히려 식물채집이라고 일컬을 수 있는 이 작품에서 작가는 인공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자연계의 미묘한 미적 질서를 발견한다. 자연의 형태에는 인공적으로 흉내 낼 수 없는 형태미가 있음을 인지하고 이에 근접해가고자 하는 작가적열망이 채집연작을 낳게 한 것이다. 그것은 인공적 재현이 뛰어 넘을 수 없는 자연물의 형태에 대한 찬미이자 이것이 지닌 형식적·내용적 가치에 대한 작가적 성찰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재작년 그가 발표한 <성하의 기억1>의 경우 아크릴물감으로 바탕을 정의하고 여기에 고사리 잎을 정교하게 붙여 재현한 콜라주 작업이다. 사실 가장 단순한 의미에서 재현은 눈앞에 존재하지 않거나 스스로를 표현하지 못하는 실물을 표상하는 행위 혹은 대리하는 행위를 가리킨다. 그런데 작가는 예술적 창조와 자연의 재현이라는 두 가지 명제를 종합하여 자연적이거나 단순히 외부 현실에 비추어 확증 가능한 것뿐 아니라, 기존의 문화적 코드에서 일탈된 작가적 사유와 성찰의 결과물로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자연계의 생로병사와 같은 순환의 역정뿐 아니라 그 이면에 숨어있는 철학적 단상들에 대한 환기이기도 한 것이다.

  "한 여름 왕성한 생명력을 가진 야생풀을 모아 캔버스에 찍는다. 가을이 되고 겨울이 오면 낙엽이 되어 흙이 되겠지만, 흔적을 통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찾아 볼 수 있다." (작가노트)

  이처럼 최근 그의 화면은 대상의 직접적인 제시에서 다시 간접적인 표현으로 바뀌고 있다. 식물이나 그 잎을 정교하게 찍어 대상을 정의하고 현실적 견해를 제기하는 것은 마치 현대사진의 '시뮬라크르'(simulacre)개념을 떠오르게 한다. 복제수단으로써 완벽하게 현실의 외형을 재현한다고 믿고 있던 사진은 플라톤 이후 모방론적예술관념을 완벽하게 실현시킨 것이 아니라 '가짜'이면서 '진짜'인체하는 뛰어난 복제의 복제로써, 이 시뮬라크르는 현실을 모방한 것도 재현한 것도 아닌 그 자체가 현실이 된다.이를 볼 때 사물을 직접 찍어 새로운 형상을 창조하는 김현자의 '시뮬라크르'는 원본과 같아지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실재를 뛰어넘어 새로운 자신의 공간을 창조해 가는 역동성과 자기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김현자의 '프린팅작업'이 가진 또 하나의 측면은 행위의 측면이다. 행위란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지지만 그 것은 존재론적으로 흥미로운 위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결과물은 실물보다 더욱 매력적이고 아름다우며 또 영원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래서 그는 화면에 찍는 행위를 통해 한시적 생명체를 영원성의 지표로 표상함으로써 재현과 실재, 가상과 현실 영역을 종횡하는 순례자의 역할을 자임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mage of nature | Lee Gyeongmo Director Suwon Culture Foundation

Kim Hyun Ja | She graduated with Bachelor of Fine Arts Education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 at Kongju National University. She has had 3 solo exhibitions and participated in many art biennials & festivals including 3rd International Incheon Women Artists' Biennale, A&C Art Fair SEOUL, KASF, as well as invited exhibitions, such as Austria Oversea Invited show, New York Invited show hosted by Art & Criticism and Beijing Exchange show. She is currently the invited artist of Art & Criticism Selected Artists Exhibition, and works as a member of steering committee for Incheon Women Artists' Biennale and high school art teacher.

   The workroom of Kim Hyun Ja, which is located in the backwoods of Gangdang vallery in Asan, is a fairy land which gives off a gentle elegance presented through the beauty of sounds coming from cicida heard amongst the trees. In her studio, where the warm late summer sunlight squeeze in between the windows as it feels jealous of the soon approaching autumn, various artworks ranging from those from the past when she was focused on experiments related to forms and matter all well exhibited. This atmosphere functions as a clue which informs why an artist who grew up was raised in the countryside became so attached to the form of nature and its archetype and had continuously been exploring the particular field.

   Exploration about the origianl form of nature | In the past, Kim Hyun Ja utilized wire and woodlark, which are commonly found in daily life, to search for values and meanings which are important even though they are considered insignificant in everyday life. Moreover, various objects were applied to conduct construction or installation works. Even in her second private exhibition in 2006, it was evident that she was making progress in the extension of the works. Here, the artist displayed an authorial grounds in which an attempt ws made to search for the origin of nature from the principle of space and project it.

   to the semantic network of life. During this process, the artist gained insight about the fact that "nature moderated itself and adjusts to order as well as holds infinity which exists through repetition." The eternal nature of internal life and circularity of traditional grounds were presented through the method of integration and consturction of different points based on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phenomenon showed by nature. That is one of the original forms and it operates as a semantic code in which introspection takes place about the meaning of existence while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significance of nature and the history of land.

   Meanwhile, Kim Hyun Ja presented an artworks in 2009 calld which consisted of the sides and mask head presented from the continuous shapes of circles, variation of delicate colors, and the lower section. This work, which can be seen as the final work of her abstract works, began from the doubts of the antinomy existence method, but the focus is placed on the formative aspect of the artwork. In this artwork, each of the 4 rectangular frames was linked together as one. This means that the screen is dominated by abstractness and purity of modernism art, but the overall artwork displays cold logical continuity and gives off a strong aesthetic aura. Through this painting, the artist displays the aspect of detecting the essence of objects while gradually simplifying or eliminating the form but looks out to falling into pictorial hallucination and attempt the intergration between plane and three-dimensional structure.

   The artwork called shows the image of reasoning about the duplicity of essence and existence of nature while reinforcing abstractness through condensing the form and aggravating anxiety of the screen by means of formative variation. Back then, her artworks were commonly referred to as abstract or nonrepresentational forms, but the colors, composition of sturctures that origin from nature find their original shapes from plants such as flowers and tree leaves in addition to other natural phenomenon.

   Moving from reenactment to reality | As a form of familiar example, Kim Hyun Ja had the experience of living near nature in recent years and conducting collected series for her works. In this artworks, which we usually refer to as plant collection instead of as formative art, the arist discovered a delicate aesthetic order which cannot be displayed artificially. The artistic aspiration of drawing closer after recongnizing that there is physical beauty in nature that cannot be imitated artificially had resulted in collected series. That is the praise for the form of natural objects, which cannot be exceeded by artificial reenactment, as well as the outcome of authorial introspection about formative · content values that are carried through this.

   In case of that was presented the year before last year, it was a reenacted collage with the background defined by acylic paint and delicate attachment of fern leaves. In fact, when reenactment is put into the simplest term, it is referred to as the presenting or substituting the object which does not exist in front of one's eyes or cannot be expressed autonomously. However, the artist synthesized artistic creation and reenactment of nature together to not only present it naturally or as something that can simply be secured through presentation to the external reality, but suggested it as the outcome of authorial reasoning and output of insights that deviate from previous cultural codes. That is not only relevant to the circulation process such as the four phase of life in the natural world, but also the arousal of philosophical phase that is hidden within.

   "Wild plants which hold active life force during summer time are gathered and imprinted onto the canvas. Once autumn comes and winter approaches, they will become fallen leaves and eventually turn into soil, but many stories can be identified through remaining trace." (Artist note)

   In the same way, her screen is recently changing from direct suggestion to indirect expression. Imprinting plants or leaves in an elaborate manner to define the targets and suggest realistic opinions makes one come up with the 'simulacre' concept of contemporary photography. The image which was perceived as perfectly reenacting the apprearance of reality as a method of duplication did not perfectly realize Mimesis artistic ideology after Platon but was the duplicated version of outstanding mean of duplication which pretended to be 'real' even though it was actually 'fake'. Therefore, this 'simulacre' itself became reality instead of being considered as imitating or reenacting reality.

   Considering this, 'simulacre' by Kim Hyun Ja, which creates new forms by directly imprinting objects, does not aim to be identical as the original source. Instead, it exceeds the existence and hold dynamism and self-identity of creating one's own new space. The aspect of behavior is another side possessed by the 'printing works' by Kim Hyun Ja. Behaviors disappear after appearing instantaneously, but that holds interesting status in ontological terms. Moreover, the result is much more attractive and beautiful than the original form and it also carries eternal attributes. This may be the reason why she fancies herself as a pilgrim who coordinates reenactment and existence as well as virtual and realistic domain by presenting temporary organisms as the indicator of eternity by imprinting them onto the screen.